paper artist
HOYOON SHIN.
SHINHOYOON.COM
관찰자들
Observers
토끼 탈을 쓴 인물이 있습니다. 토끼 탈은 단순한 가면이 아니라, 세상과 자신을 분리하는 벽이자 방패입니다. 탈은 관찰자의 얼굴을 숨기고, 목소리를 삼키며, 그를 세상으로부터 보호하는 동시에 고립시킵니다. 관찰자는 행동하지 않는 자로서 세상을 바라볼 뿐이며, 그 시선은 중립적이고 객관적입니다. 그러나 그 중립성은 그를 더 깊은 고독 속으로 밀어 넣습니다.
조각의 형상은 두 겹의 벽으로 이루어진 공간을 상징합니다. 첫 번째 벽은 물리적인 탈로 표현되며, 관찰자가 외부 세계와 단절된 상태를 드러냅니다. 두 번째 벽은 관찰자의 내면에 자리한 심리적 장벽을 상징합니다. 그는 세상을 바라보며 무력감과 회의감을 느끼지만, 자신이 선택한 역할에 충실하려는 의지와 고립된 상태에서 오는 불안감 사이에서 끊임없이 갈등합니다.
작품의 질감과 형태는 이 심리적 긴장을 강조합니다. 탈의 표면은 매끄럽고 단단하여 외부 세계와의 단절을 표현하지만, 내부 공간은 거칠고 불규칙하게 조각되어 관찰자의 불안정한 내면을 드러냅니다. 조각 속 인물은 움직임 없이 고정된 자세로 묘사되며, 이는 그의 행동하지 않는 삶을 상징합니다.
이 작품은 현대 사회에서 개인이 느끼는 소외와 단절, 그리고 그 속에서 자신의 역할을 고민하는 인간의 복잡한 심리를 담아내고자 했습니다. 관찰자는 세상을 바라보지만, 동시에 세상으로부터 철저히 고립된 존재입니다. 그는 행동하지 않음으로써 중립성을 유지하려 하지만, 그 선택은 끝없는 고독과 자기 성찰로 이어집니다.
"관찰자"는 우리가 살아가는 혼란스러운 시대 속에서 개인이 느끼는 불안과 자기 존재에 대한 질문을 던지는 작품입니다. 이 조각은 관찰자라는 역할 뒤에 숨겨진 인간의 본질적인 감정과 갈등을 탐구하며, 관객에게 스스로의 내면을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제공하고자 합니다.
The figure wearing a rabbit mask symbolizes a profound psychological and existential barrier. The mask is not merely a physical disguise but serves as a metaphorical wall and shield, separating the observer from the world. It conceals the observer’s face and voice, protecting them from external influences while simultaneously isolating them. In this role, the observer refrains from action, maintaining a neutral and objective gaze upon the world. However, this neutrality drives them deeper into solitude.
The sculpture embodies a space defined by two layers of barriers. The first layer is represented by the physical mask, signifying the observer’s disconnection from the external world. The second layer symbolizes the psychological wall within the observer’s mind—a manifestation of their inner conflict. While observing the world, they experience feelings of helplessness and skepticism, yet they continue to struggle between their commitment to their chosen role and the anxiety stemming from their isolation.
The texture and form of the sculpture emphasize this psychological tension. The mask’s surface is smooth and solid, illustrating detachment from the external world, whereas its inner space is rough and irregular, reflecting the observer’s unstable inner state. The figure is depicted in an immobile posture, symbolizing their inactive existence.
This artwork captures the alienation and disconnection felt by individuals in modern society while exploring the complex psychology of contemplating one’s role within it. The observer gazes at the world yet remains entirely isolated from it. Their choice to refrain from action preserves their neutrality but leads to endless solitude and self-reflection.


우주는 늘 같은 장면을 재방송한다. The universe endlessly replays the same scenes./ 45x35x35cm, urethane clear on paper,2024.

신발 속 작은 돌멩이 같은 쉼이 필요해.The need for rest, like a tiny pebble nestled within the shoe / 45x25x25cm, Urethane clear on paper, 2024.

관찰자. Observer / 45x15x15cm, paper cut, urethane clear on paper, 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