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수상한 꽃

Strange Flowers

수상한 꽃은 기형적 현대 사회의 실제를 보여준다. 수많은 외래종은 지금의 한국의 풍토를 바꿔놓고 있다. 자생문화는 퇴물로 바뀌고 있고, 우리의 정서와 맞는지 아닌지는 중요하지 않은, 단지 신문명이라는 단어를 들고 지배해버리는 구조다. 신문명의 좋고 나쁨이 아닌 올바른 수용과 정착, 그리고 이전 문화와의 자연스러운 조화에 대한 문제다. 객반위주客反爲主되어버린 현 상황에 대한 이야기이며, 그 상황이 가식적인 미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지만, 결국 우리에게 어떤 상황으로 돌아올지 그것이 두려운 상황에 대한 이야기, 그것이 수상한 꽃의 이야기다. 수상한 꽃 연작은 아름다울 수 있다. 하지만 그 속에 여러 단층layer은 굉장히 가는 다리를 통해 겹쳐지며 각각의 모습이 모호해지고 큰 모습만을 보여주려 한다. 큰 형태의 뒤에는 거울이 존재한다. 그곳에 맺히는 나의 모습을 통해 그 수상한 꽃이 피는 형상을 내가 만들어 왔음을, 혹은 방관해 왔음을 말하고 있다. 이 작업속에서의 종이라는 소재의 역할은 이분법화 된, 혹은 양극화 현상을 보이는 사회다. 하지만 이 종이들이 수장의 단층을 이루어 큰 형태를 만드는 것을 통해 그렇게 사회는 단순하지 않음을 또한 보여주고 있다. 결국 현 사회는 여러 양극화 현상이 모여 만들어진 구조라는 것을 말한다.

The Strange Flowers series reflects the reality of a distorted modern society. Numerous invasive species have altered the current ecological landscape of Korea. Indigenous culture is being relegated to obsolescence, replaced by structures that prioritize dominance under the guise of "new civilization," regardless of whether they align with our sentiments or not. This is not about the merits or flaws of this new civilization but rather about the proper acceptance, settlement, and harmonious integration with previous cultures. It addresses the phenomenon where the guest becomes the host, a situation that may offer superficial beauty and convenience but ultimately raises fears about its long-term consequences for us. This is the narrative of Suspicious Flowers.

While Suspicious Flowers may appear beautiful, its layered composition reveals a fragile connection between its strata, where individual forms blur and only larger shapes emerge. Behind these grand forms lies a mirror, reflecting my own image and revealing that I have either created or passively allowed these suspicious flowers to bloom. Within this work, the motif of species symbolizes a society characterized by dichotomies and polarization. However, through these species forming layered structures to create larger shapes, it demonstrates that society is far from simple. Ultimately, it conveys that contemporary society is a structure formed by various polarizations converging together.

This translation aims to preserve the original text's aesthetic tone while accurately conveying its critical perspective on societal and cultural dynamics.

5765.jpg

     수상한 꽃 011. Strange Flowers 011 / 75x21cm, paper, 2007

5755.jpg

     수상한 꽃 012. Strange Flowers 012 / 138x51cm, paper, 2007

5760.jpg

     수상한 꽃 013. Strange Flowers 013 / 70x50cm, paper, 2007

0074.jpg

     수상한 꽃 014. Strange Flowers 014 / 93x90cm, paper, 2007

0047.jpg

     수상한 꽃 019. Strange Flowers 019 / 180x70cm, paper, 2007

bottom of page